highway geometry 2
- sunmin park
- 2018년 12월 13일
- 2분 분량
최종 수정일: 3월 23일
highway geometry 2, 2015, 2 channel video, color, sound, loop
Running a long highway is only possible by adjusting the speed and direction. To equalize speed and direction, this road has the even surface, width, and curve. And one can arrive at the destination at the estimated time when the car runs well and meets the conditions. This is a planned itinerary. Centering on the vanishing point created by the planned speed, the oblique line would be the geometry of the speed. When the speed is running between the clean oblique lines, there are moments, which the smudge appears. The unplanned coincidence smudges are fragments of the whole and are already the body of death that has begun to decay.
This is a random play between the madness of speed and taboos of pause. (Artist Note)
sunmin park
고속도로를 오래 달리는 일은 속도와 방향을 조절해야만 가능한 일이다. 속도와 방향을 균일화 하기위해 이 길은 동일한 노면, 폭, 굴곡을 가지고 있고 그 조건을 잘 맞춰 달릴때 원하는 목표지점과 예상 시간에 도착할 수 있다. 이것은 계획된 여정이다. 계획된 속도가 만드는 소실점을 중심으로 양갈래의 사선이 속도의 기하학이다. 속도가 만드는 깨끗한 사선들 사이로 달리다 보면 얼룩이 등장하는 찰나의 순간이 있다. 계획되지않은 우연의 얼룩들은 전체의 파편들이며 이미 부폐하기 시작한 죽음의 몸뚱이이다.
속도라는 광기와 멈춤이라는 금기의 랜덤플레이. (작가노트)
excerpted installation view
installation view 2018 seoul photo festival brave new world , sema, buk-seoul museum of art, Photo by Won-seok Choi,
고속도로 기하학2 에서는 시간과 공간의 중첩, 시간을 통제하고자 하는 박선민의 태도가 드러난다. 고속도로를 달리면서 찍은 화면은 계속 이어지는 차선과 가드레일 두 선의 연결이 하나의 점으로 모여지면서 삼각형의 기하학을 형성한다. 그리고 카메라는 그 형상을 유지하면서 갑자기 시선을 멈추고 버려진 것들, 즉 도심과 자연 사이에서 버려진 혹은 죽어간 파편들을 포착한다. 작가는 관객에게 그가 머문 시선을 매개로 살아있었던 것, 사용되었던 것, 의미를 가졌던 것들이 그 생명을 멈춘 순간과 틈새를 대면시킨다. (2018 서울사진축제- 멋진 신세계 도록 발췌)
In <highway geometry2, Park Sunmin’s attitude reveals the overlapping time and space, and trying to control time. The scenes filmed while driving on the highway show the perfection of a geometrical triangle created by two lines, the ever-lasting lane and the guardrail, that converge toward a single point. Then, the camera’s view is suddenly stopped while maintaining such image, focusing on a still scene of discarded objects, the abandoned fragments between the city and nature. The artist confronts the viewers with some debris of an accident; thus objects which were alive or used, and things that lost their meaning, are presented through her gaze. (Excerpted from Catalogue of 2018 seoul photo festival brave new world , sema, buk-seoul museum of art)